문예출판사, 한국교원대 나병철 교수의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 출간
문예출판사, 한국교원대 나병철 교수의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 출간
  • 김혜경 기자
  • 승인 2018.09.14 09: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간이 시간의 능동적인 주인이 될 방법은 어디에 있을까
▲ 문예출판사, 한국교원대 나병철 교수의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 출간
[휴먼에이드] 문예출판사가 한국교원대 나병철 교수의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을 출간했다고 밝혔다.

우리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을 뿐 아니라 미래를 미리 경험할 수 없다.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점유하면서 공간의 주인이 될 수 있지만 시간의 주권을 갖고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근대 이전에는 시간을 신과 연관시켜 과거의 회한에서 벗어나거나 미래를 예측했다. 그러나 신이 사라진 근대 이후 우리는 직선적인 시간 앞에서 순환도 회귀도 없는 삶을 살아간다. 인간이 직선적인 시간의 흐름 속에서 능동적인 주인이 될 방법은 어디에 있을까.

한국 사회와 문학의 접점을 꾸준하게 연구해온 나병철 교수의 책,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은 수동적인 시간의 지배에서 벗어나 존재의 능동성을 되찾기 위해 문학에서 제3의 시간과 특이성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박태원의 ‘성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윤후명의 ‘모든 별은 음악소리를 낸다’, 박상우의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현진건의 작품들, 최인석의 ‘아름다운 나의 귀신’, 황석영의 ‘손님’, ‘시그널’ 등 한국 근현대 소설과 드라마와 영화를 분석해 시간의 식민지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저자는 과거의 시간을 기억하고 미래를 향해 도약할 때 선형적 시간의 제약을 넘어 존재의 능동성을 되찾을 수 있다고 말하며 이를 ‘제3의 시간’이라고 부른다. 제3의 시간은 니체가 말한 영원회귀의 시간과 같다. 하이데거와 베르그송 역시 인간이 선적인 시간을 뛰어넘는 순간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도약의 시간은 특이성의 순간이다. ‘특이성’이란 근대의 직선적인 시간이 상실한 영원회귀의 시간이 다시 생성되는 순간이다.

특이성은 문학에서뿐만 아니라 삶의 기억으로 빛나기도 한다. 3월 1일, 5월 18일, 4월 16일과 같은 날짜는 특이성의 사건인 동시에 달력 위에서 빛나는 기억의 별이기도 하다. 직선적인 달력의 시간은 우리를 자유가 없는 객체로 만들지만, 과거를 기억하고 기념하며 오늘과 미래를 돌아보게 만드는 특이성의 순간들은 우리로 하여금 새로운 시간을 소망하게 된다. ‘무정’과 ‘만세전’, ‘고향’과 같은 근대 소설에 묘사된 전차와 열차는 직선적인 시간 운동의 표현이지만 ‘고향’에서 ‘그’가 무덤 같이 변해버린 고향을 이야기하는 시간은 ‘특이성의 순간’을 만들어낸다.

특이성의 별이 빛날 때 우리는 눈부시게 위장된 검은 달력의 세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 책은 직선적인 시간을 넘어서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시간의 식민지에서 해방되는 방법을 암시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