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행복마을관리소 92.8% 만족
경기연구원, 행복마을관리소 92.8% 만족
  • 박창재 기자
  • 승인 2019.02.07 19: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을순찰, 택배보관, 환경개선활동 등 생활밀착형 공공서비스로서 경기 행복마을관리소 도입
작년 11월19일 군포시 산본1동에서 첫번째 '행복마을관리소' 개소식을 했다. ⓒ 경기도
작년 11월19일 군포시 산본1동에서 첫번째 '행복마을관리소' 개소식을 했다. ⓒ 경기도

[휴먼에이드] 경기연구원은 '시민서비스 기반 공익적 일자리 창출, 경기 행복마을관리소' 보고서를 발표했다.

기존의 공공일자리 사업과 같은 단기적이고 소모적인 일자리가 아니라, 시민서비스를 통한 사회적 가치의 실현과 공익적 일자리 창출을 위해 경기 행복마을관리소 정책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 행복마을관리소는 마을순찰부터 택배보관, 환경개선활동 등 주민생활의 불편사항을 처리하는 일종의 동네관리소이다. 지역 주민이 고용되어 지역안전·지역재생·주민자치 등의 시민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익형 일자리 사업으로 안산시, 시흥시, 의정부시, 포천시, 군포시 등 5개 지역을 시범사업 대상자로 선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경기 행복마을관리소에 대한 도민의 인식조사 결과, 경기도민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책인식조사에서 응답자의 75.1%가 경기 행복마을관리소 정책에 대해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응답자들은 '주민밀착형 생활서비스 공급의 필요성(46.0%)', '공공부문의 공익적 일자리 필요성(29.0%)' 등의 이유로 경기 행복마을관리소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경기 행복마을관리소 사업이 제공하기에 적합한 서비스로는 생활안전(46.9%), 마을환경관리(35.1%), 생활지원(32.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범사업 이용자들은 92.8%가 서비스에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91.7%가 타인에게 추천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향후 경기 행복마을관리소 정책의 개선을 위해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공간 및 시설 등의 개선'을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응답해, 주민수요에 대응하는 거점공간과 같은 인프라 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 행복마을관리소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는 △ 정책목표에 부합하는 평가체계 구축 △ 지역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시⋅군의 자율성 보장 △ 사업지 선정 시 지역수요 반영 △ 시너지 창출을 위한 지역차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 경기 행복마을관리소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검토 등을 제안했다.

최 연구위원은 "시⋅군 단위에서 필수적인 행정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지역별 행정⋅재정 측면에서 자체 추진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며 "경기 행복마을관리소는 지역 간 균등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역차원의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